깨어나는 용
용산은 오랫동안 ‘잠자는 용’이었습니다. 한 세기 넘도록 용산의 심장부를 외국군의 주둔지로 내주어야 했고, 그 옆을 지나는 고속철도선으로 인해 지역이 동서로 분할되어 있었습니다. 또한 서울의 대표적 명소인 남산과 한강을 남북으로 끼고 있는 ‘경관상 중요한 지역’이기에 번듯한 건물 하나 올리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역사적으로나 지형적으로 서울의 핵심지라는 점이 개발의 발목을 잡는 요인이었습니다.
이제 용산은 기나긴 잠에서 깨어나고 있습니다. 미군으로부터 돌려받은 땅은 뉴욕의 센트럴파크를 능가하는 서울의 허파로 기능할 것이며, 공간의 역사적 의미를 알리고 상처를 치유하는 생명의 숲으로 다시 태어날 것입니다. 얼마 전 그 첫 걸음을 떼었습니다. 미군들 사이에서 ‘캠프 서빙고’라 불리던 장교숙소 단지를 역사 관광지로 재구성하여 시민에게 개방한 것입니다.
용산은 서울에서 가장 늦게 개발되는 곳이지만 서울을 명실상부한 세계도시로 비약케 할 거점이자 국제 관문으로 성장 중입니다. 그 세기적인 변화의 심장은 용산역 주변입니다. 철도차량을 정비하던 넓은 부지를 중심으로 국제적인 업무단지를 건설한다는 큰 그림 아래 하나씩 하나씩 변화가 시작되고 있습니다. 머지않아 이곳은 경제·문화·관광의 새 흐름을 주도하는 기지가 될 것입니다. 수도권을 아우르는 전철노선, 전국을 연결하는 고속철도선이 그 기회를 증폭시켜줄 것이며, 인천국제공항과 직결되는 서울역의 공항철도선은 세계를 잇는 다리 역할을 할 것입니다.
종로·강남·여의도로 연결되는 중심도로 주변도 새로운 미래경관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대로변의 노후 주택과 상가건물, 강변의 낡은 아파트들은 미래에게 자리를 내주었거나 떠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그 자리에는 자연 경관을 해치지 않는 창의적인 방식의 다양한 시설이 들어설 것입니다. 발전이란 명분 아래 오래되고 낡은 모든 것이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100년 용산 역사의 산증인으로서 자리를 지켜온 건물들은 옛 이야기를 들려주는 문화시설로 새롭게 태어날 것입니다. 용산은 10여 년 전 용산역 주변을 정비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비극을 가슴에 새긴 채 돌다리 두드리듯 신중한 걸음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